로컬에서의 버전관리를 쉽고 간단하게 사진찍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
1. git init => 사진사 고용
2. git add => 사진에 찍힐 코드 파일등을 모아둠
3. git commit => 사진찍기
4. git log => 찍은 사진 확인
1. 로컬에서 버전관리 하기
yangjiwon@yangjiwon-ui-MacBookAir Desktop % mkdir gitgit
yangjiwon@yangjiwon-ui-MacBookAir Desktop % cd gitgit
yangjiwon@yangjiwon-ui-MacBookAir gitgit % touch test1.txt
먼저 터미널로 gitgit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버전관리를 할 test1.txt 파일을 만들었습니다
test1.txt 파일 안에 버전a 라고 적고 저장합니다
이제 로컬에서 git을 통해 버전을 관리하면 되는데 터미널을 키고 해당 폴더로 들어간 다음 git init을 치면 됩니다 (버전관리 시작 시 한번만 입력)

git add . 를 통해 파일들을 한데 모아주고
git commit -m "initial commit" 을 하는데, 여기서 따옴표 안에 유의미한 커밋 메시지를 꼭 적어야 (이름표 같은 것이라) 나중에 버전관리시에 도움이 됩니다

git log를 통해서 커밋 히스토리를 볼 수 있습니다
하단에 아까 적은 커밋메시지 'initial commit'이 보이네요
그럼 gitgit 폴더 안의 test1.txt 파일 내용을 '버전a => 버전 b' 로 변경해주고 다시 커밋해보겟습니다

와중에 바뀐 터미널 색..
여튼 다시 git add . 해주고 commit 진행해줍니다
커밋 메시지는 두번째 커밋이라 second commit이라고 적었습니다

git log 를 해보니 커밋 히스토리가 싹 보이네요
만약 initial commit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해당 커밋코드를 복사해 git reset --hard 커밋코드해쉬(번호) 하면 됩니다

test1.txt 파일도 '버전a' 로 돌아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2. 리모트(깃허브) 연동해보기
* git remote add origin 리포지토리 주소
리포지토리와 내 로컬 폴더를 연동 (깃과 깃허브가 만나게)
* git push origin main
깃허브 리포지토리 메인 브런치에 현재 커밈들 넣기
* git clone 리포지토리 주소
깃허브 리포지토리에서 모든 커밋들을 내 로컬로 가져온다
* git pull origin main
서버에서 변동사항이 일어난 것을 로컬로 동기화 한다
* git remote remove origin
기존에 연결되어 잇는 원격 저장소와 연결 끊기
우선 깃허브에서 리포지토리를 생성해야 합니다
'git +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error: failed to push some refs to ~~ @@ 에러 (0) | 2023.05.29 |
|---|---|
| git과 github란 무엇일까! (0) | 2023.05.15 |